통장 쪼개기, 돈을 모으고 싶다면 통장을 쪼개라! 쉽게 할수 있는 통장 관리 방법 (Feat. 4개의 통장)

통장 쪼개기, 통장관리방법, 썸네일입니다.

여러분들은 돈관리를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혹시 통장도 하나에 얼마가 들어오고 얼마를 사용했는지 모르고 계시진 않으신가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수 있는 통장 관리 방법 중 하나인 통장 쪼개기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현재, 일을 하고 있고 수익이 있는데 항상 돈이 부족하고 카드값 걱정을 하고 계시진 않으신가요?
이런 걱정을 하고 계신분들은 꼭 이번 포스팅을 끝까지 읽고 실천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현재 일정한 수익을 얻을수 있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수익이 큰 금액은 아니지만, 아직까지는 카드값 걱정을 하지 않고 살고 있습니다. 여행도 주기적으로 가고 부모님들 용돈도 가끔씩 드리고 가족과 외식도 자주 하면서 잘 지내고 있습니다. 제가 이렇게 생활 할수 있는 이유는 평소 소비가 많은 편이 아니기도 하지만 효과적으로 통장 쪼개기를 활용하여 자산을 관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내가 수익이 있을때, 수익을 늘리지 않아도 돈을 많이 모을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까요? 바로 효과적인 소비와 통장 관리가 있어야 합니다. 그중에서도 효과적인 통장 관리를 통해서 더 많은 돈을 모을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통장 관리 방법, 통장 쪼개기!


4개의 통장

4개의 통장 책 사진입니다. (통장 쪼개기)

4개의 통장이라는 책을 아시나요? 저는 우연히 접한 이 책을 통해서 통장 쪼개기를 처음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에서는 돈을 많이 벌기 위한 방법이 나와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부자가 되기 위한 효과적인 돈관리 습관등 기본기에 대한 내용이 나와 있습니다. 시간이 되면 꼭 읽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다음에서는 4개의 통장에 나와 있는 통장 관리 방법과 이를 응용하여 제가 어떻게 통장 관리를 하고 있는지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효과적인 통장 관리 방법 : 통장 쪼개기 (4개의 통장)

통장 쪼개기를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4개의 통장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각 통장에 용도에 맞게 아래와 같이 이름을 지어줄것입니다.

  • 급여 통장
  • 소비 통장
  • 투자 통장
  • 예비 통장

1. 급여 통장

급여 통장은 말 그대로 정기적 수익이 들어오는 통장입니다. 급여 통장은 정기적으로 들어오는 수익을 각 목적에 맞게 다른 통장으로 분배하는 목적의 통장입니다.
비정기적인 수입 (보너스 등)은 예비 통장으로 입금 되도록 할것입니다.
예전에는 급여 통장이 계좌이체 수수료 면제라는 혜택이 있어서 월급 통장으로 만들어서 사용했지만, 지금은 일반 입출금 계좌도 이체 수수료가 면제라서 굳이 급여 통장으로 만들지는 않으셔도 됩니다.
물론, 급여 통장이 이율에서 혜택보는 면이 있지만 급여 통장에서는 이체하는 역할만 주로 하기 때문에 크게 차이는 없습니다.
고정 지출 (보험료, 통신비 등) 금액은 남겨두고 이체하면 됩니다.

  • 정기적인 수입만 급여 통장으로 입금
  • 정기적인 수입이 입급되면 고정 지출 (보험료, 통신비 등) 금액은 남겨두고 타 통장으로 분배

2. 소비 통장

소비 통장은 본인이 한달 동안 소비할 금액을 넣어 두고 사용하는 통장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본인의 한달 소비 금액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본인의 소비 금액을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평소 가계부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소비 통장에서는 고정 지출 (보험료, 통신비 등)을 제외한 변동 지출 금액에 대해서만 사용하면 됩니다. 한달 사용 금액을 계획하고 그 금액 내에서 지출하면 됩니다.
사용하고 남은 금액은 예비 통장으로 입금 시키고 부족하면 예비 통장에서 꺼내 사용하는 시스템입니다.

물론 소비 통장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신용카드가 아닌 체크카드를 이용해야합니다.
이 방법이 돈을 모으기 위해서는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10년 이상 통장 쪼개기를 해온 입장에서는 굳이 체크카드를 활용할 필요는 없다라는 생각입니다. 이 부분은 아래 응용편에서 추가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소비 패턴 파악 후 소비 예산을 책정
  • 매달 사용하고 남은 금액은 예비 통장으로 이체
  • 부족한 금액은 예비 통장에서 꺼내 사용

3. 투자 통장

투자 통장은 저축이나 주식 등 재테크를 위한 통장입니다. 매달 일정 금액을 투자 통장으로 이체하여 사용 하면 좋습니다. 투자 통장은 입출금 통장이 아닌 적금, 예금 통장으로 만들어 놓는 것이 좋습니다.

  • 매달 일정 금액 투자
  • 장기적인 투자 필요

4. 예비 통장

예비 통장은 예비 자금을 보관하는 통장으로 비상금 통장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경조사나 병원비 등 큰 비용이 갑작스럽게 필요할때 사용 가능한 통장입니다. 소비 통장에서 남은 금액이나 부족한 금액을 넣고 뺄수 있는 입출금 통장이 좋습니다.
언제든지 사용 가능하도록 넉넉한 금액이 항상 있어야 합니다.



효과적인 통장 관리 방법 : 통장 쪼개기 (응용편)

4개의 통장의 기본적인 통장 관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제가 10년 이상 통장 쪼개기를 하면서 개선한 방법을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보다 현실적인 방법이오니 꼭 참고하세요!

1. 용도에 맞게 통장 정하기

통장을 나누기 전에 어떤 방법으로 통장을 나눠 관리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아래 방법은 저의 경우에 맞게 변경한 것이니 참고하시어 본인에 맞게 설정하시면 됩니다.

  • 급여 통장
  • 용돈 통장
  • 경조사 통장
  • 의료비 통장
  • 여행비 통장
  • 쇼핑비 통장
  • 예비비 통장
    • 가족용 예비비 통장
    • 개인용 예비비 통장
  • 투자비 통장
    • 연금 저축
    • 주택 청약
    • 주식 계좌
  • 기타 통장
    • 자녀 용돈 통장

처음부터 이렇게 많은 통장을 나누실 필요는 없습니다. 저도 시간이 지나면서 필요해 의해서 계속 추가 했습니다.
추후에 활용하시면서 필요 하시다면 통장을 추가 하시면 됩니다.

용도별로 통장을 만들고 개인적으로 정해놓은 예산만큼 돈을 넣어놓고 사용할 경우 급하게 돈이 필요한 경우에도 부담스럽지 않게 사용 가능합니다.

2. 용도별 통장 관리

용도별 통장 관리 방법에 말씀드리기에 앞서 공통적으로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각 통장별로 예산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세한 내용은 각 통장 별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급여 통장 (허브)

급여 통장은 회사 급여, 카드 포인트, 주식 배당금 등 모든 수익이 모이는 통장입니다.
매달 특정일에 일정 금액을 제외하고는 다른 통장으로 돈을 이체하고 있습니다.
남겨둔 예산에서는 통신비, 보험료 등으로 빠져나가게 됩니다.

2) 용돈 통장

제 1달 용돈은 10만원입니다. 개인적으로 소비하는 금액은 용돈 통장으로 사용합니다.
1달 뒤에 남은 용돈은 개인 예비비 통장으로 이체하여 모으고, 용돈이 부족한 경우에는 개인 예비비 통장의 돈을 빌려와 사용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1달 예산을 잡아놓게 되면 과소비를 방지하여 1달에 10만원도 사용 하지 않게 됩니다.

3) 경조사 통장

결혼하고 나서 가장 먼저 만든 통장입니다.
양가 부모님 생신, 명절, 어버이날 등 집안에 행사가 있을때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산은 MAX 300만원을 기준으로 잡고, 300만원 미만으로 남았을 경우 매달 일정 금액을 경조사 통장으로 이체하고 있습니다. 경조사 통장에 이미 300만원이 있는 경우에는 매달 이체하는 금액을 예비비 통장에 모으시면 됩니다.

4) 의료비 통장

치과 치료나 갑작스러운 건강 악화로 입원할 경우 등에 사용하기 위해 만든 통장입니다.
예산은 MAX 300만원을 기준으로 잡고 매달 일정 금액을 이체중입니다.
의료비 통장도 역시 300만원이 있는 경우에는 이체할 금액을 예비비 통장으로 모으고 있습니다.

5) 여행비 통장

제가 가장 좋아하는 통장입니다. 평소 여행을 좋아하기 때문에 여행 가기 위해 큰 금액을 지출하게 되면 확실히 부담이 되게 됩니다. 하지만, 미리 모아둔 예산에서 사용하게 되면 그만큼 부담이 적어지게 됩니다.
예산은 MAX 300만원을 기준으로 잡고 매달 이체하여 적립하고 있습니다.

6) 쇼핑비 통장

쇼핑비 통장은 내가 사고 싶은 것이 있을때, 사용하는 통장입니다.
이전에는 사고 싶은 것이 생기면 필요한 금액을 적금 식으로 매달 저금하여 구매하곤 했습니다.
최근에는 사야할게 많아져서 MAX 300만원 기준으로 잡고 매달 일정 금액을 이체하고 있습니다.

7) 예비비 통장

예비비 통장은 각 통장별로 이체 금액이 남게 되거나, 정기적인 급여외의 비정기적인 수익을 예비비 통장으로 이체하여 모으고 있습니다. 적지 않은 돈이 있기 때문에 매일 이자가 적립되는 파킹 통장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예비비 통장은 MAX 금액이 아닌 MIN (최소) 금액이 존재합니다.
저는 최소 금액 기준을 회사 급여의 3~5배 금액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회사 급여의 3~5배로 설정한 이유는 혹시나 회사를 그만두게 되었을 경우, 예비비 통장의 돈으로 새로운 수익을 얻기 전까지 3~5개월 정도는 여유를 가질수 있기 때문입니다.

8) 투자비 통장

투자비 통장은 크게 3가지로, 연금 저축 계좌, 주택 청약 계좌, 주식 계좌를 보유 중입니다.
매달 일정 금액만큼 각 통장으로 이체하여 여러 분야에 투자 하고 있습니다.
연금 저축의 경우에는 연말정산에서 이득을 볼수 있기 때문에 여유가 되신다면 꼭 만드시길 바랍니다.
주택 청약 계좌의 경우에도 주택 미보유시에 연말정산에서 혜택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9) 자녀 용돈 통장

자녀 용돈 통장을 별도로 만들어, 할머니, 할아버지나 친척분들이 주시는 아이 용돈과 매달 나오는 아동 수당과 같은 정책지원금을 받아 저축하고 있습니다.
자녀에게 일정금액을 비과세로 증여할수 있습니다. 해당 내용은 추후에 자세하게 알아볼 예정입니다.



이렇듯 저는 용도별로 통장을 나누고 일정 금액 만큼을 적립하여 사용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나눠서 통장을 관리하게 되면, 큰지출이 있어도 많이 부담스럽지 않고, 보다 효과적인 통장 관리가 가능하게 됩니다.
처음에는 4개의 통장으로 시작해서 현재는 저에게 맞는 방법으로 수정하여 활용중입니다.
여러분들도 본인에 맞게 수정하여 활용하시면 됩니다.

통장 쪼개기는 효과적으로 돈을 관리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지금 당장 통장 쪼개기! 시작해 보시길 바랍니다.



Leave a Comment